대마왕N a d a의 A f r o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대마왕N a d a의 A f r o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모든 글 모음 (258)
    • Latin Feel (87)
      • 문화 이야기 (23)
      • 음악 이야기 (7)
      • 음식 이야기 (4)
      • 역사 이야기 (13)
      • [연재] 진흙속에서 핀 꽃 라틴재즈 (21)
      • [연재]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살사 이.. (15)
      • [연재] 멕시코 음식 이야기 (3)
    • 인문학종합편성채널 아프로 (3)
      • 닥터노의 아카데미나 아까!! (3)
      • 구보의 마꼰도 오로 (0)
      • 독또르의 누에보 문도 (0)
    • 수다수다수다 (155)
      • 연애/심리 (1)
      • 386과 88만원 세대 사이 XP 세.. (4)
      • 영화와 드라마 이야기 (30)
      • 문화와 예술 이야기 (26)
      • 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64)
      • 기타 뒷담화 (28)
    • 독서일기 (9)
      • 작은 깨달음 (9)
      • 큰 깨달음 (0)

검색 레이어

대마왕N a d a의 A f r o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 헌재보다 독한 오바마 미국 대통령

    2009.11.01 by Deko

  • 단일민족 그게 뭐가 어때서 말이야 ..??

    2009.10.30 by Deko

  • 프로레슬링속의 실전파이터 故노무현 전 대통령

    2009.07.23 by Deko

  • 정치판 프로 레슬링 언제 끝날 것인가?

    2009.07.15 by Deko

  • 태권도와 가라테 원류 논쟁의 새로운 변화

    2009.07.04 by Deko

  • 종교문제로 제사를 거부하는 것은 무지한 행위이다.

    2009.04.13 by Deko

  • 시리즈 #3 : 전문기자와 블로거 사이에서

    2009.04.09 by Deko

  • 인터넷 미디어에서 기자記者가 더욱 우수워지다.

    2009.04.07 by Deko

헌재보다 독한 오바마 미국 대통령

미디어법에 대한 헌재의 결정은 어떤 이들에게는 아이러리를 어떤 이들에게는 절망을 어떤 이들에게는 개그를 선사하는 것 같다. 하지만 올해 노벨 평화상 수상자라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 비하면 새발에 피다. 많은 이들이 그가 대통령이 되면 세계가 안정될 것이다. 해외 주둔 미군이 철수할 것이다. 세계는 평화 모드로 갈 것이다 .... 라고 생각한 모양이다. 심지어 스웨덴 한림원에서도 말이다. 허나 ....그가 미국의 대통령이 되고 아니 뭐 구차하게 말할 필요없이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되고 아프간에서 희생된 군인의 관에 거수경례를 했고 빌 게이츠가 아닌 미 국방장관 게이츠를 통해 우리나라에 파병 요청을 했다. 이번엔 전투병력이 갈 지도 모른단다 ... 대규모 전면전은 아니라해도 다들 국지전은 있을 것이라 생..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2009. 11. 1. 02:30

단일민족 그게 뭐가 어때서 말이야 ..??

오랜만에 입에 거품무는 여자를 봤다. 한국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나온 일이었다. 허참 ... 3년전 자기가 수업에서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우리나라가 무슨 단일민족이냐 그런 허위적 생각은 없어져야 한다 등등 ... 레포트 하나 쓴 모양이다. 몇 가지 질문으로 툭툭 ~!! 몰아보니 꽁무니 빼면서 SBS 스페셜 단일민족의 나라 당신의 대한민국을 보고 말을 하라고 한다. 3년전 다큐지만 어찌어찌 구해서 보고 말았다. 이 다큐는 그 초기부터 오류가 있었다. 국가적 개념에서의 한국인과 민족적 개념으로의 한국인은 이젠 서로 다른 것이다. 국적이라는 것은 서류상의 요건만 맞춰주면 세계 어느 ... 아니 뭐 전부는 아니고 대개의 나라에서 취득 할 수 있는 것이다. 국적이란 취득할 수 있는 것이다. 태어나서 부여받고 ..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2009. 10. 30. 14:40

프로레슬링속의 실전파이터 故노무현 전 대통령

우리는 이제 프로 레슬링이라는 것이 하나의 엔터테이먼트이며 각본도 있고 서로 합을 맞추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이것이 프로 레슬링을 보는 재미와 그리 큰 관계가 없다는 것도 알고 있다. 사실 100kg이 넘는 거구의 레슬러들이 실제로 치고 싸우고 던지고 한다면 역동적인 스펙타클함은 고사라고 잘못하다간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것이다. 서로가 서로를 보호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물론 서로가 서로를 보호해도 100kg이 넘는 거구들이 펼치는 레슬링에서는 부상이 없을 수가 없다. WWE의 특징은 기믹이라는 레슬레 개개인의 캐릭터 이외에 시나리오가 있다는 것이다. 선역과 악역으로 나누어 서로 대립하다가 대형 메인 이벤트에서 승부를 겨루는 형식이 지금도 반복되고 있다. 개개인 레슬러가 서로 대립하기도 하고..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2009. 7. 23. 02:11

정치판 프로 레슬링 언제 끝날 것인가?

80년대 중후반 AFKN을 통해 미국 WWF 현 WWE가 방송되었다. 무엇보다 헐크 호간과 워리어의 경기는 초미의 관심이었고 우리나라 레슬링이 전멸한 자리에 미국 프로레슬링의 오락성은 아이들을 마비시키기에 충분했다. 호간, 워리어, 빅보스맨, 마초맨, 달러맨, 자이언트 등등 수많은 선수들이 자신들의 캐릭터(기믹)을 유지하며 인기를 얻고 있었다. 그리다 갑자기 수많은 스타들이 사라지게 된다. WCW라는 경쟁 단체로 옮겼다는 것이다. 빅스타들이 빠져나간 자리에 스톤 콜드와 락과 같은 젊고 유능한 레슬러들이 등장하여 wwe는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고 wcw는 결국 스타들의 몸값을 지탱하지 못하고 망하게 되고 wwf에 흡수되게 된다. 현재는 wwe에서 구 wwf는 raw로 wcw는 smack down이라는..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2009. 7. 15. 11:55

태권도와 가라테 원류 논쟁의 새로운 변화

얼마 전부터 태권도 원류가 무엇인지에 대한 포스팅도 꽤 있었고 같은 테마의 게시물도 심심치 않게 있었다. 태권도가 우리나라의 국기이며 올림픽 종목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고 신체 건강한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누구나 군대에서 원하던 원치 않던 태권도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 일제시대에 들어온 가라테가 태권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가라테와 의복에서 초기 품형까지 흡사한 부분이 한두 군데가 아닌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명칭의 흡사함으로 관계가 있을 것이라 짐작되는 태껸과 태권도가 다른 것은 그저 한번 보기만 해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는 사실이며 역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일문 문화 특히 일본 제국주의 적인 문화에 반감이 만만치 않은 우리에게 가라테가 태권도의 모체라는 것은 상당히 받아..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2009. 7. 4. 18:46

종교문제로 제사를 거부하는 것은 무지한 행위이다.

부활절이다. 유교적으로 생각하면 부활절은 예수의 제삿날이다. 물론 부활과 망자의 기일은 사전적으로 다른 의미이다. 하지만 십자가와 부활은 신앙적인 개념이다. 신앙적인 개념이라는 것은 개개인의 믿음의 문제라는 것이다. 이것을 공공연하게 보편적/과학적 진리인 양 주장하는 것은 넌센스이다. 개인의 신앙의 문제는 개인의 신앙에 머물러야 한다. 개인의 신념과 믿음과 객관적, 과학적 사실과는 당연히 구분해야 한다. 다시말해 증명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뭐 자신의 견해와 다르다는 것만으로 비판하고 용납하지 못하는 것은 전체주의적 폭력이며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인간에게 가장 악질적인 것이다. 이것은 어느 한쪽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말해 자신의 종교적 견해때문에 제사를 지낼 수 없다는 것은 당연히 인정해..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2009. 4. 13. 11:12

시리즈 #3 : 전문기자와 블로거 사이에서

세번째 이야기이다. 미니홈피의 열풍이 거세던 때에 미니홈피가 아니라 블로그를 하는 사람이 있었다. 홈페이지의 새로운 개념으로 이해하면서 개인 인터넷 미디어로, 혹은 대체 혹은 대안적 미디어로의 가능성을 느낀 사람은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블로그는 새로운 미디어로 인정받고 있다. 블로그가 성장하는 데엔 블로그 서비스에 앞장 섰던 네이버의 공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겠지만 (파란등의 포털에서도 블로그 서비스가 있긴 했으나) 역시 다음의 블로거 뉴스와 티스토리 서비스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서비스의 내용과 질을 이야기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다음의 블로거 뉴스는 천편일률적인 독점적 미디어의 대안으로 블로거 뉴스는 초반 아주 신선함으로 다가왔다. 저번에 쓴 글은 역량있는 블로거보다 못한 인터넷 미..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2009. 4. 9. 13:59

인터넷 미디어에서 기자記者가 더욱 우수워지다.

관련글 : 미디어의 홍수속에 기자가 우수워지다. 몇몇 포털 사이트가 인터넷 대표 미디어가 되고 인터넷이 가장 강력한 미디어가 되버리면서 기자가 우수워지기 시작했다. 혹시 방구석에서 TV만 보면서 자신의 짧은 단견들과 소감을 기사라고 써내려가는 기자가 있는가 하면 그저 주변에 떠도는 소문을 확인이고 나발이고 없이 일단 이니셜 놀이 하면서 글을 쓰는 기자가 있기도 하고 악플러와 비판적인 시각의 블로거 중간 정도 위치하며 악의적이고 자극적인 기사를 쏟아내는 몇몇 연예인에 대해선 마치 스토커 스타일의 악플어와 같은 모습을 보이는 기자도 있고 정말 이게 기자일까 ?? 이게 기자가 쓴 글일까 의심이 되는 글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과연 기자란 무엇일까 ..? 사전에는 이렇게 나온다. 1 신문, 잡지, 방송 따..

수다수다수다/시사 정치 역사 이야기 2009. 4. 7. 12:5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TISTORY
대마왕N a d a의 A f r o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