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명성황후는 왜 죽어야만 했을까???

본문

 

 

 

 

예전부터 이해되지 않던 것이 있다.

왜 일본은 명성왕후를 죽여야 했을까?

과연 고종이라는 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왕도 아니고 명성왕후를 죽여야

조선을 침략할 수 있다는 판단이 섰던 이유가 무엇인지 … 교과서에서도

딱히 특별한 답이 나오지 않았다. 글쎄 뭐 내가 머리가 나빠서 그런 탓일 수도 있지만.

 

사실 조선이라는 나라는 임난과 호란, 양난의 책임을 지고 임금 스스로 목을 잘라야 했다.

왕족들도 예외가 아니다. 책임을 지지 않는 왕실은 필요 없는 것이다.

전 국토가 쑥대밭이 된 2번의 침략을 당하고도 그저 자신의 명줄을 이어가려 했다는 것은

정말 염치없는 짓이다.

 

게다가 자유로운 경쟁과 비판을 통해 도태되는 정치세력과 신흥정치세력간의 자연스런

변화를 막은 탕평책은 결국 한 가문이 거의 모든 주요 관직을 차지하게 되게는 세도정치로

이어지고 결국 완전 부패하여 구한말의 급변하는 세계사에서 그저 어찌할 바를 모르고

도태되었던 것이다.

게다가 민중의 외침이었던 동학혁명 (혁명이라 부르기 어려운 이유가 있는데 동학운동은

새로운 정권을꿈꾸었던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조차 무참히 짓밟고 대체 저것이

국가라고 부를 수 있는가라는 한심한 상황까지 가게 된다.

 

보통 일제의 침략을 강조하기 위해 구한말의 부패한 조선을 은근히 감추는 경향이 있다.

조선이던 대한제국이던 부패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물론 대원군의 개혁정치가 있지 않았는가 하는 것에 대해서는

뭐 다음에 언급하기로 하고

지금은 명성왕후는 왜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그렇게 죽어야만 했냐에 대해

간단히 언급해본다.

 

당시 대원군은 정권의 핵심이었으나 세도정치 속에서 파벌을 형성한 쪽에서

대원군을 견제하고 있었다.

이 세도정치 세력, 뭐 알고 보면 권력에 맛이 든 인물들과 함께 손을 잡고

대원군을 축출하는데 여기에 일본의 힘을 빌리게 된다.

쇄국정책을 하던 대원군. 하지만 명성왕후가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맺으며

일본세력과 개화파 그리고 세도정치 세력이 힘을 합쳐 대원군을 하야(?) 시키게 된다.

그런데 대원군 세력이 임오군란을 일으키게 된다.

여기서 명성왕후는 일본이 아니라 청의 세력에 기대게 된다.

청에 의지하여 다시 대원군 세력을 물리치고 대원군은 청으로 압송되게 된다.

그런데 강화도 조약을 통해 득세했던 개화파가 갑신정변을 일으킨다.

명성왕후는 다시 의 세력에 의지하여 권력을 유지한다.

허나 청일전쟁이 조선에서 일어나고 조선은 쑥대밭이 되고 일본이 승리하게 된다.

그러자 러시아 세력을 이용하여 일본을 견제하게 된다.

이이제이(以夷制夷)였을까?

글쎄 ….

세상엔 공짜가 없다.

외세를 등에 업으면 그만큼 나가는 것이 있기 마련이다.

어쩌면 명성왕후는 국가를 팔아 왕실을 지킨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일본은 전쟁을 일으켜 조선을 삼킨 것이 아니었다. 

물론 사무라이 정신과 제국주의 일본 제국주의 시각으로 본다면

당연히 전쟁으로 쓸어버리고 정복하는 것을 선호하겠지만

이토오가 있었다. 교활하다고 해야 하나 영리하다고 해야 하나

상대적으로 서구화에 뒤쳐진 아시아를 조약을 통해 야금야금

먹으려 했다.

안중근 의사의 의거는 단순히 이토오를 죽인 것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
일본의 가시적인 가면을 벗기고
그 안의 제국주의 본성을 드러나게 한 것이다.


그런데 이토오의 전술은 어찌보면 명성왕후의 그것과 닮아있다.
물론 조약을 통한 간접적 방식의 침략과
조약을 통하여 자신의 왕실의 지키는 것은
분명히 다르긴 하지만 말이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명성왕후의 외교전술 속에는
당시 조선 민중을 향한 어떠한 배려도 없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꾸 명성황후라며
우리가 반성하고 결코 되풀이해서는 안되는 역사를 미화하고
일본 놈만 나쁘다고 하는 것은 좀 이해가 안된다.
일본의 제국주의는 어떠한 형태이던 비판을 해야 하며
일본은 당연히 반성해야 한다. 적어도 21세기 동안 반성해야 한다.

우리 또한 반성해야 한다.
그 반성의 시작이 아마도 영조의 탕평책을 새로 평가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세도정치의 실상을 바라보고
결과적으로 명성왕후와 고종을 재평가하는 것으로 마무리가 되지
않을까 싶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